맨위로가기

The Circle (본 조비의 음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he Circle》는 본 조비의 열한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2009년에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컨트리 록 스타일이었던 전작 《Lost Highway》에서 로큰롤로 회귀했으며, 미국 빌보드 200 차트 1위로 데뷔했지만 다음 주에는 19위로 하락했다.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며, 상업적으로는 성공을 거두어 여러 국가에서 1위를 기록하고 골드 또는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본 조비의 음반 - 7800° Fahrenheit
    1985년에 발매된 본 조비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7800° Fahrenheit는 밴드의 불만족에도 불구하고 티코 토레스의 작곡 참여, "Tokyo Road" 수록, '바위도 녹이는 온도'를 뜻하는 제목, 빌보드 200 연말 차트 72위 기록, 그리고 여러 국가에서의 인증을 특징으로 한다.
  • 본 조비의 음반 - Burning Bridges (본 조비의 음반)
    본 조비의 2015년 13번째 정규 음반인 《Burning Bridges》는 머큐리 레코드와의 계약 이행을 위해 제작되었으며, 리치 샘보라 탈퇴 후 첫 앨범이자 데즈몬드 차일드가 참여하지 않은 첫 앨범이다.
  • 머큐리 레코드 음반 - U218 Singles
    U218 Singles는 U2의 컴필레이션 앨범으로, 18곡의 싱글을 담고 있으며,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 머큐리 레코드 음반 - No Line on the Horizon
    U2의 12번째 정규 음반 《노 라인 온 더 호라이즌》은 브라이언 이노, 다니엘 라누아와 협업하여 모로코, 더블린 등지에서 녹음되었고 "미래의 찬송가" 콘셉트의 11곡이 수록, 호불호가 갈리는 평가 속에서 높은 차트 순위를 기록했으며 U2 360° 투어 레퍼토리로 활용, 앤톤 코르바인 감독의 뮤직 비디오 영화 《리니어》로도 제작되었다.
  • 아일랜드 레코드 음반 - Pop (U2의 음반)
    1997년 발매된 U2의 9번째 스튜디오 앨범 《Pop》은 전자 음악과 샘플링을 활용한 실험적인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며, 긍정적 평가와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멤버들은 최종 결과물에 실망했고, 앨범의 실험적인 시도는 U2의 음악적 경향에 영향을 미쳤다.
  • 아일랜드 레코드 음반 - Boy (음반)
    U2의 데뷔 음반 《소년 (Boy)》는 스티브 릴리화이트가 프로듀싱하고 10대의 사춘기 전환을 주제로 실험적인 사운드 효과를 특징으로 하며, "I Will Follow"와 같은 싱글을 통해 상업적인 성공과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U2의 독창적인 사운드를 확립했다.
The Circle (본 조비의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앨범 정보
이름더 서클
종류스튜디오 앨범
아티스트본 조비
발매일2009년 11월 10일
녹음 기간2008년–2009년
장르하드 록
팝 록
길이52분 49초
레이블아일랜드 레코드
머큐리 레코드
프로듀서존 섕크스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이전 앨범로스트 하이웨이
이전 앨범 발매년도2007년
다음 앨범Greatest Hits
다음 앨범 발매년도2010년
더 서클 앨범 커버
더 서클 앨범 커버
싱글
싱글 1We Weren't Born to Follow
싱글 1 발매일2009년 8월 31일
싱글 2Superman Tonight
싱글 2 발매일2010년 1월 25일
싱글 3When We Were Beautiful
싱글 3 발매일2010년 5월 20일
인증
인증 (일본)골드 (일본 레코드 협회)
차트 성적
최고 순위 (일본, 오리콘)1위
최고 순위 (미국, 빌보드 200)1위
최고 순위 (영국, UK Albums Chart)2위
월간 순위 (오리콘, 2009년 11월)4위

2. 역사적 배경

2. 1. 결성 및 초기 활동 (1983-1985)

2. 2. 전성기 (1986-1995)

2. 3. 변화와 도전 (1996-2006)

2. 4. 컨트리 록으로의 전환과 회귀 (2007-현재)

3. 녹음 및 제작

전 본 조비 기타리스트 리치 샘보라는 《롤링 스톤》과의 인터뷰에서 이 음반이 "로큰롤"로 돌아온 것이라고 말했다. "저기에 큰 합창단이 있을 겁니다. 본 조비처럼 들리지만, 신선하게 들립니다. 우리는 많은 새로운 사운드를 실험했고, 정말 좋은 기타 연주자이기도 한 존 섕크스와 함께 작업하면서 정말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그래서 그와 저는 기타 사운드에 많은 '일'을 했습니다. 본 조비 신작에는 정말 좋은 기타 사운드와 새로운 분위기들이 많이 담겨있어서 정말 현대적이게 만드는 것 같아요. 사람들이 다 파버릴 것 같아요 흔들림이 심합니다."라고 그는 말했다.[45][3]

존 본 조비는 영국 라디오 방송국 앱솔루트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음반 제목이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진다고 말했다. 그것은 원이 결코 끝나지 않고 있다는 사실과, "이 조직에서는 원이 들어가기가 매우 어렵고, 더 나아가 빠져나오기도 어렵다"고 말하는 본 조비의 내부를 가리키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46][4]

리드 싱글인 〈We Weren't Born to Follow〉는 우리가 이 경제 위기에서 겪고 있는 힘든 시기에 대한 것이다.[5] 〈Superman Tonight〉은 두 번째 싱글로 발매되었고, 세 번째 싱글로 〈When We Were Beautiful〉이 발매되었는데, 이 모든 곡들은 뮤직 비디오가 수록되었다.[5] 프로모션 싱글로 발매된 〈Work For the Working Man〉은 오하이오주에서 문을 닫은 DHL 공장에 대해서도 쓰여졌다.[47] 이 음반이 공식적으로 발표되기 전에,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의 수석 보좌관인 데이비드 액셀로드가 〈Work for the Working Man〉의 가사를 틀에 넣고 백악관 집무실에 걸었다.[47][5]

이 음반은 1988년의 ''뉴저지'' 이후 보너스 트랙이 없는 첫 번째 음반이다.

4. 사회적 반응

''The Circle''은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주류 평론가들의 리뷰를 100점 만점으로 정규화하여 점수를 매기는 웹사이트 ''메타크리틱''에서는 10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앨범의 평균 점수가 52점/100점으로, "엇갈리거나 평균적인 평가"를 나타냈다.[12] ''올뮤직''의 스티븐 토마스 얼와인은 5점 만점에 2점을 주며 "과장된 코러스에 대한 재능은 본 조비에게 여전히 내재되어 있지만, 이러한 우울한 상황에서 그들은 한때 부유한 사람들이 오랫동안 떠나온 세상에 대해 걱정하는 대신, 노동자들을 위한 밴드처럼 들렸다는 것을 상기시켜준다."라고 평했다.[6] ''빌보드''의 게리 그래프는 5점 만점에 4점을 주며 "뉴저지 출신 그룹이 11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The Circle로 다시 록 음악을 시작한다."라고 평했다.[7] ''엔터테인먼트 위클리''의 휘트니 파스토렉은 "클리셰와 존의 힘겨운 목소리 사이에서, The Circle은 그저 지쳐 보인다."라고 말하며 C 등급을 주었다.[8]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미카엘 우드는 4점 만점에 1.5점을 주며 "The Circle은 본 조비가 평범하게 낙관적인 감정을 예상대로 고조되는 코러스에 결합시키는 여전히 날카로운 재능을 보여준다. 불행하게도, 한 노래와 다음 노래를 구분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라고 평했다.[9] ''롤링 스톤''의 크리스찬 호드는 5점 만점에 3점을 주며 "록 음악이 에어로스미스가 다이앤 워렌의 노래를 부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록 음악이다."라고 평했다.[10] ''보스턴 글로브''의 스콧 맥레넌은 앨범에 대해 "세련된 프로덕션과 맥주 광고의 과장이 이 12곡을 윤활유로 사용한다. 리드 싱어 존 본 조비는 아직 노래에 사용할 수 없는 클리셰를 만나지 못했다."라고 말하며 엇갈린 평가를 내렸다.[11]

이 앨범은 데뷔와 동시에 빌보드 200 차트 1위를 차지했지만, 다음 주에는 갑자기 19위로 하락했다. 일본 오리콘 주간 앨범 차트에서 약 67,000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1위로 데뷔하여, 일본 차트에서 통산 5번째 1위 앨범을 기록했다. 이 앨범의 1위 데뷔로 본 조비는 머라이어 캐리와 사이먼 앤 가펑클이 보유하고 있던 서양 아티스트로서 5개의 1위 앨범을 기록한 오리콘 차트 기록과 동률을 이루었다.[13] 오리콘 차트는 2005년에 발매된 『해브 어 나이스 데이』부터 3작 연속 1위를 기록하며, 외국 음악 아티스트 최초의 쾌거를 이루었다. 또한 통산 5번째 1위는 머라이어 캐리, 사이먼 앤 가펑클과 함께 외국 음악 아티스트 최다 타이 기록을 세웠다.

4. 1. 평가

''The Circle''은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주류 평론가들의 리뷰를 100점 만점으로 정규화하여 점수를 매기는 웹사이트 ''메타크리틱''에서는 10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앨범의 평균 점수가 52점/100점으로, "엇갈리거나 평균적인 평가"를 나타냈다.[12] ''올뮤직''의 스티븐 토마스 얼와인은 5점 만점에 2점을 주며 "과장된 코러스에 대한 재능은 본 조비에게 여전히 내재되어 있지만, 이러한 우울한 상황에서 그들은 한때 부유한 사람들이 오랫동안 떠나온 세상에 대해 걱정하는 대신, 노동자들을 위한 밴드처럼 들렸다는 것을 상기시켜준다."라고 평했다.[6] ''빌보드''의 게리 그래프는 5점 만점에 4점을 주며 "뉴저지 출신 그룹이 11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The Circle로 다시 록 음악을 시작한다."라고 평했다.[7] ''엔터테인먼트 위클리''의 휘트니 파스토렉은 "클리셰와 존의 힘겨운 목소리 사이에서, The Circle은 그저 지쳐 보인다."라고 말하며 C 등급을 주었다.[8]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미카엘 우드는 4점 만점에 1.5점을 주며 "The Circle은 본 조비가 평범하게 낙관적인 감정을 예상대로 고조되는 코러스에 결합시키는 여전히 날카로운 재능을 보여준다. 불행하게도, 한 노래와 다음 노래를 구분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라고 평했다.[9] ''롤링 스톤''의 크리스찬 호드는 5점 만점에 3점을 주며 "록 음악이 에어로스미스가 다이앤 워렌의 노래를 부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록 음악이다."라고 평했다.[10] ''보스턴 글로브''의 스콧 맥레넌은 앨범에 대해 "세련된 프로덕션과 맥주 광고의 과장이 이 12곡을 윤활유로 사용한다. 리드 싱어 존 본 조비는 아직 노래에 사용할 수 없는 클리셰를 만나지 못했다."라고 말하며 엇갈린 평가를 내렸다.[11]

이 앨범은 데뷔와 동시에 빌보드 200 차트 1위를 차지했지만, 다음 주에는 갑자기 19위로 하락했다. 일본 오리콘 주간 앨범 차트에서 약 67,000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1위로 데뷔하여, 일본 차트에서 통산 5번째 1위 앨범을 기록했다. 이 앨범의 1위 데뷔로 본 조비는 머라이어 캐리와 사이먼 앤 가펑클이 보유하고 있던 서양 아티스트로서 5개의 1위 앨범을 기록한 오리콘 차트 기록과 동률을 이루었다.[13] 오리콘 차트는 2005년에 발매된 『해브 어 나이스 데이』부터 3작 연속 1위를 기록하며, 외국 음악 아티스트 최초의 쾌거를 이루었다. 또한 통산 5번째 1위는 머라이어 캐리, 사이먼 앤 가펑클과 함께 외국 음악 아티스트 최다 타이 기록을 세웠다.

전작 『로스트 하이웨이』에서 약 2년 반 만에 발매된 스튜디오 앨범으로, 컨트리 록 스타일이었던 전작과 달리 로큰롤을 기조로 하고 있다. 「워크 포 더 워킹 맨」(Work For The Working Man)은 노동자를 위해 부른 이 곡의 가사가 미국 백악관에 있는 오바마 대통령의 수석 고문인 데이비드 액설로드의 오피스 벽에 걸려 있었다. 초회 생산 한정반(디럭스 에디션)에는 트라이베카 영화제에서도 상영된 『로스트 하이웨이 투어』를 통해 밴드의 진실에 접근한 다큐멘터리 영화 『웬 위 워 뷰티풀』(WHEN WE WERE BEAUTIFUL)의 DVD가 부속되어 있으며, CD가 SHM-CD 사양으로 되어 있다. 본작은 CD에 보너스 트랙이 수록되어 있지 않으며, 이는 1986년에 발매된 『와일드 인 더 스트리츠』 이후 처음이다. 2010년 6월 23일에는 『더 서클+라이브 트랙스』(The Circle+Live Tracks)가 발매되었다.

4. 2. 상업적 성과

''The Circle''은 발매와 동시에 빌보드 200 차트 1위를 차지했지만, 다음 주에는 19위로 급락했다. 일본 오리콘 주간 앨범 차트에서는 약 67,000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1위로 데뷔, 통산 5번째 1위 앨범이 되었다.[13] 이로써 본 조비는 머라이어 캐리, 사이먼 앤 가펑클과 함께 서양 아티스트로서 오리콘 차트 최다 1위 앨범 기록과 동률을 이루게 되었다.[13] 오리콘 차트에서는 2005년 발매된 ''해브 어 나이스 데이''부터 3작품 연속 1위를 기록하여, 외국 음악 아티스트로서는 최초의 기록을 달성했다.

''The Circle''은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메타크리틱에서는 10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평균 52점을 기록하여 "엇갈리거나 평균적인 평가"를 받았다.[12] 올뮤직의 스티븐 토마스 얼와인은 5점 만점에 2점을 주며 본 조비가 노동자들을 위한 밴드처럼 들린다고 평했다.[6] 빌보드의 게리 그래프는 5점 만점에 4점을 주며 록 음악으로의 복귀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7] 엔터테인먼트 위클리의 휘트니 파스토렉은 C 등급을 주며 진부함과 존 본 조비의 힘겨운 목소리를 지적했다.[8]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미카엘 우드는 4점 만점에 1.5점을 주며 곡들을 구분하기 어렵다고 평했다.[9] 롤링 스톤의 크리스찬 호드는 5점 만점에 3점을 주었다.[10] 보스턴 글로브의 스콧 맥레넌은 엇갈린 평가를 내리며 존 본 조비가 클리셰를 많이 사용한다고 언급했다.[11]

5. 수록곡

번호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1We Weren't Born to Follow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4:03
2When We Were Beautiful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빌리 팔콘5:18
3Work for the Working Man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대럴 브라운4:04
4Superman Tonight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빌리 팔콘5:12
5Bullet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3:50
6Thorn in My Side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4:05
7Live Before You Die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4:17
8Brokenpromiseland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존 섕크스, 데스몬드 차일드4:57
9Love's the Only Rule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빌리 팔콘4:38
10Fast Cars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3:16
11Happy Now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4:21
12Learn to Love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4:39


5. 1. 정규 앨범

《The Circle》의 정규 앨범에는 총 12곡이 수록되어 있다. 첫 번째 트랙은 〈We Weren't Born to Follow〉로 존 본 조비리치 샘보라가 작사, 작곡했다. 2번 트랙 〈When We Were Beautiful〉은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빌리 팔콘이 함께 작업했다. 3번 트랙 〈Work for the Working Man〉은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대럴 브라운이 만들었다. 4번 트랙은 〈Superman Tonight〉으로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빌리 팔콘이 참여했다.

5번 트랙 〈Bullet〉과 6번 트랙 〈Thorn in My Side〉는 존 본 조비와 리치 샘보라가 작곡했다. 7번 트랙 〈Live Before You Die〉 역시 존 본 조비와 리치 샘보라의 작품이다. 8번 트랙 〈Brokenpromiseland〉는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존 섕크스, 데스몬드 차일드가 함께 작업했다.

9번 트랙 〈Love's the Only Rule〉은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빌리 팔콘이 만들었고, 10번 트랙 〈Fast Cars〉, 11번 트랙 〈Happy Now〉, 12번 트랙 〈Learn to Love〉는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가 함께 작업했다.

아이튠즈 보너스 트랙으로는 〈We Weren't Born to Follow〉의 제이슨 네빈스 리믹스 버전이 수록되었다. 2010년 스페셜 에디션에는 〈We Weren't Born to Follow〉, 〈When We Were Beautiful〉, 〈Superman Tonight〉, 〈Love's the Only Rule〉의 라이브 버전이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되었다.

5. 2. 추가 수록곡

The Circle의 인터내셔널 특별판에는 보너스 트랙으로 4개의 라이브 곡이 추가되었다. 추가된 곡은 〈We Weren't Born to Follow〉, 〈When We Were Beautiful〉, 〈Superman Tonight〉, 〈Love's the Only Rule〉이다. 이 곡들은 모두 라이브 버전이다. 아이튠즈를 통해 앨범을 구매한 사람들에게는 제이슨 네빈스가 리믹스한 〈We Weren't Born to Follow〉가 보너스 트랙으로 제공되었다.

6. 참여진

존 본 조비는 리드 보컬을 담당했다.[14] 리치 샘보라는 기타와 백 보컬을 담당했다.[14] 데이비드 브라이언은 키보드를 담당했으며[14], 티코 토레스는 드럼과 퍼커션을 담당했다.[14] 찰리 저지는 추가 키보드 및 현악기를 연주했다.[14] 휴 맥도날드는 베이스 기타를 담당했다.[14]

존 섕크스는 프로듀서를 담당했으며[14], 존 본 조비와 리치 샘보라도 공동 프로듀서로 참여했다.[14] 제프 로스차일드는 엔지니어를 담당했고[14], 마이크 르, 오비 오브라이언, 알렉스 깁슨은 추가 엔지니어를 담당했다.[14] 라스 폭스는 프로 툴스 편집을 담당했다.[14] 밥 클리어마운틴은 믹싱을 담당했고[14], 브랜든 던컨은 믹싱 보조를 담당했다.[14] 조지 마리노는 마스터링을 담당했다.[14] 케빈 웨스터버그는 밴드 사진을 촬영했고[14], Kirk Edwards Photography는 추가 사진을 촬영했다.[14] 앤디 웨스트 디자인은 아트 디렉션디자인을 담당했고[14], 린 버가이는 앨범 제목 및 디자인을 담당했으며[14], 캐롤 콜리스는 패키지 프로듀서를 담당했다.[14]

7. 차트 성적

순위오스트레일리아4오스트리아2벨기에 (플랑드르)31벨기에 (왈로니아)39캐나다 (빌보드)1체코11덴마크18네덜란드4유럽 앨범 (빌보드)[15]2핀란드6프랑스39독일1헝가리11아일랜드7이탈리아13일본 (오리콘 차트)1멕시코38뉴질랜드20노르웨이14포르투갈5스코틀랜드1스위스1스웨덴9스페인3영국2영국 (디지털)3미국 (빌보드 200)1미국 (빌보드 디지털)1미국 (빌보드 록)1미국 (빌보드 테이스트메이커)3



차트 (2009년)순위
호주 앨범 차트 (ARIA)[16]86
오스트리아 앨범 차트 (Ö3 오스트리아)[17]35
독일 앨범 차트 (오피셜 탑 100)[18]62
스위스 앨범 차트 (슈바이처 히트파라데)[19]49
영국 앨범 차트 (OCC)[20]79
미국 빌보드 200[21]189
미국 톱 록 앨범 (빌보드)[22]44



차트 (2010년)순위
캐나다 앨범 차트 (빌보드)[23]35
미국 빌보드 200[24]88
미국 톱 록 앨범 (빌보드)[25]21


7. 1. 주간 차트

순위오스트레일리아4오스트리아2벨기에 (플랑드르)31벨기에 (왈로니아)39캐나다 (빌보드)1체코11덴마크18네덜란드4유럽 앨범 (빌보드)[15]2핀란드6프랑스39독일1헝가리11아일랜드7이탈리아13일본 (오리콘 차트)1멕시코38뉴질랜드20노르웨이14포르투갈5스코틀랜드1스위스1스웨덴9스페인3영국2영국 (디지털)3미국 (빌보드 200)1미국 (빌보드 디지털)1미국 (빌보드 록)1미국 (빌보드 테이스트메이커)3


7. 2. 연말 차트

wikitable

차트 (2009년)순위
호주 앨범 차트 (ARIA)[16]86
오스트리아 앨범 차트 (Ö3 오스트리아)[17]35
독일 앨범 차트 (오피셜 탑 100)[18]62
스위스 앨범 차트 (슈바이처 히트파라데)[19]49
영국 앨범 차트 (OCC)[20]79
미국 빌보드 200[21]189
미국 톱 록 앨범 (빌보드)[22]44



차트 (2010년)순위
캐나다 앨범 차트 (빌보드)[23]35
미국 빌보드 200[24]88
미국 톱 록 앨범 (빌보드)[25]21


8. 인증

인증
지역인증
오스트레일리아골드
캐나다플래티넘
독일골드
일본골드
스위스골드
영국골드
미국골드


참조

[1] 간행물 Bon Jovi Return to Rock With "The Circle" On November 10 : Rolling Stone : Rock and Roll Daily https://web.archive.[...] 2009-10-18
[2] 뉴스 Bon Jovi Comes Full 'Circle' at No. 1 on ''Billboard'' 200 http://www.billboard[...] billboard.com 2009-11-18
[3] 간행물 Bon Jovi Get "Back to Rock & Roll" On November Album : Rolling Stone : Rock and Roll Daily https://web.archive.[...] 2009-10-18
[4] 인터뷰 Jon Bon Jovi Interview with Ben Jones Absolute Radio 2009-09-22
[5] 뉴스 Bon Jovi: 'We're not supposed to be here'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5-15
[6] 웹사이트 Bon Jovi: The Circle http://www.allmusic.[...] Allmusic 2017-01-07
[7] 웹사이트 Bon Jovi, "The Circle" http://www.billboard[...] Billboard 2017-01-07
[8] 웹사이트 The Circle - EW.com http://ew.com/articl[...] Entertainment Weekly 2017-01-08
[9] 웹사이트 Album Review: Bon Jovi's 'The Circle' http://latimesblogs.[...] 2017-01-08
[10] 웹사이트 Bon Jovi: The Circle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7-01-07
[11] 뉴스 Bon Jovi, 'The Circle' - The Boston Globe http://archive.bosto[...] The Boston Globe 2017-01-08
[12] 웹사이트 "The Circle" – Bon Jovi http://www.metacriti[...] Metacritic 2017-01-07
[13] 웹사이트 ボン・ジョヴィ洋楽史上最多5作目首位「日本のファンに感謝」 http://www.oricon.co[...] Oricon 2009-11-10
[14] Album The Circle Island
[15] 간행물 Hits of the World - European Albums https://books.google[...]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09-11-21
[16] 웹사이트 ARIA End of Year Albums Chart 2009 https://www.ariachar[...]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2020-09-07
[17] 웹사이트 Jahreshitparade Alben 2009 https://austrianchar[...] 2020-09-07
[18] 웹사이트 Top 100 Album-Jahrescharts https://www.offiziel[...] offiziellecharts.de 2020-09-07
[19] 웹사이트 Schweizer Jahreshitparade 2009 https://hitparade.ch[...] 2020-09-07
[20] 웹사이트 End of Year Album Chart Top 100 – 2009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Company 2020-09-07
[21] 간행물 Top Billboard 200 Albums – Year-End 2009 https://www.billboar[...] 2020-09-07
[22] 간행물 Top Rock Albums – Year-End 2009 https://www.billboar[...] 2020-09-07
[23] 간행물 Top Canadian Albums – Year-End 2010 https://www.billboar[...] 2020-09-07
[24] 간행물 Top Billboard 200 Albums – Year-End 2010 https://www.billboar[...] 2020-09-07
[25] 간행물 Top Rock Albums – Year-End 2010 https://www.billboar[...] 2020-09-07
[26] 웹사이트 BON JOVI ボン・ジョヴィ - ザ・サークル - UNIVERSAL MUSIC JAPAN http://www.universal[...] 2017-01-07
[27] 웹사이트 BON JOVI ボン・ジョヴィ - ザ・サークル - UNIVERSAL MUSIC JAPAN http://www.universal[...] 2017-01-07
[28] 웹사이트 BON JOVI ボン・ジョヴィ - ザ・サークル - UNIVERSAL MUSIC JAPAN http://www.universal[...] 2017-01-07
[29] 웹사이트 "ザ・サークル~デラックス・エディション」 ボン・ジョヴィ https://www.oricon.c[...] ORICON STYLE 2014-04-19
[30] 웹사이트 Bon Jovi - Chart history http://www.billboard[...] Billboard 2014-04-19
[31] 웹사이트 BON JOVI http://www.officialc[...] The Official Charts Company(OCC) 2014-04-19
[32] 웹사이트 2009年11月度認定作品 https://web.archive.[...] 日本レコード協会 2014-04-21
[33] 웹사이트 ボン・ジョヴィの歌詞、ホワイト・ハウスの壁に掛けられる https://www.barks.jp[...] BARKS 2014-04-02
[34] 웹사이트 ボン・ジョヴィ洋楽史上最多5作目首位「日本のファンに感謝」 https://www.oricon.c[...] ORICON STYLE 2014-04-02
[35] 문서 FINAL FANTASY CRYSTAL CHRONICLESFTHE CRYSTAL BEARERS http://www.crystalbe[...]
[36] 웹인용 "''The Circle'' – Bon Jovi" http://www.metacriti[...] Metacritic 2017-01-07
[37] 웹인용 Bon Jovi: The Circle http://www.allmusic.[...] Allmusic 2017-01-07
[38] 웹인용 Bon Jovi, "The Circle" http://www.billboard[...] Billboard 2017-01-07
[39] 웹인용 The Circle - EW.com http://ew.com/articl[...] Entertainment Weekly 2017-01-08
[40] 웹인용 Album Review: Bon Jovi's 'The Circle' http://latimesblogs.[...] 2017-01-08
[41] 웹인용 Bon Jovi: The Circle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7-01-07
[42] 웹인용 Bon Jovi, 'The Circle' - The Boston Globe http://archive.bosto[...] The Boston Globe 2017-01-08
[43] 웹인용 Bon Jovi Return to Rock With "The Circle" On November 10 : Rolling Stone : Rock and Roll Daily https://www.rollings[...] 2009-10-18
[44] 웹사이트 "Bon Jovi Comes Full 'Circle' at No. 1 on ''Billboard'' 200" http://www.billboard[...] billboard.com 2009-11-18
[45] 웹인용 Bon Jovi Get "Back to Rock & Roll" On November Album : Rolling Stone : Rock and Roll Daily https://www.rollings[...] 2009-10-18
[46] 인터뷰 Jon Bon Jovi Interview with Ben Jones Absolute Radio 2009-09-22
[47] 뉴스 Bon Jovi: 'We're not supposed to be here'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